
"부산행"
근 한달동안 포스팅을 안 했습니다만 여기저기 다녀온 데는 많은데 굳이 바로바로 포스팅 해야하나, 포스팅하기 귀찮다, 이게 포스팅거리가 되나...등등을 생각하면서 하지 않고 있었다.
이번 포스팅은 금~토에 다녀온 부산행. 오전근무만 하고 내려갈 예정이라 유동적인 일정 때문에 따로 예매를 해 놓지 않았는데, 퇴근하고 SRT 앱에 접속해 보니 오후 차가 싹 다 매진이었다. 왜? 토요일도 아니고?? 금요일인데??? 할 수 없이(?) 수원역에서 ITX 새마을을 타고 부산으로 내려간다.

이날의 점심...은 편의점에서 산 카츠샌드.
수원에서 구포까지 약 4시간 걸리는 여정이다. 중간에 대전에서 KTX로 갈아타면 시간을 좀 더 단축할 수 있지만 시간 줄여봐야 한 40분 정도라, 그냥 타고 쭉 내려가기로 했다.

김천 근처였나...?
사실 기존선으로 대전 이남으로 내려와 본 게 2002년 월드컵 하던 시절이었으니 정말 오래 되었다. KTX 개통 후에는 무조건 KTX였으니.
KTX가 개통되기 전 새마을호는 그야말로 선망의 대상이었다. 연례행사로 대구에 내려갔을 때는 항상 무궁화호였으니. 새마을호보다 싼 것도 있지만 당시 새마을호는 영등포도 대구(동대구 말고)도 서지 않았기에 접근성 면에서 좀 더 유리한 무궁화호를 택했던 게 크다. 어렸을 때 무궁화호는 2x3 배열이었는데, 그 시트를 그대로 쓰던 일부 객차를 폭탄차라고 부르고 있으니 격세지감이 느껴진다(지금은 그 폭탄차도 다 없어졌지만). 당시 새마을호로 대구까지 3시간 30분이던가? 그리고 무궁화호는 4시간이 넘었던 걸로 기억한다. 기차여행은 정말 설렜으나 어린 시절에 여행이 길어질수록 지루해 지는 건 어쩔 수 없었다.
지금 돌이켜보면 그 때의 무궁화호의 지위가 지금 딱 새마을호 같다. 지금 새마을호는 영등포와 대구는 당연히 정차하고, 수원, 구미, 구포는 그러려니 하는데, 평택과 물금역에도 정차하는 걸 보고 좀 놀랐다. "그" 새마을호가!

밀양을 지나면서 낙동강을 끼고 달리기 시작한다. 경부선 구선로도 이렇게 보면 풍경이 좋다. 다만 3시간이 지나가자 20년 전 그때처럼 슬슬 지루해지기 시작한다.
아무튼 그 10~20년 전하고 선로는 바뀐 게 없고, 정차역은 하염없이 늘어나서 새마을호의 운행 소요시간도 예전보다 늘어나 버렸다. 하지만 무궁화호와의 운임 격차는 그때와 비슷하게 벌어져 있어 비슷한 구간의 우등고속보다도 비싼 데다(수원-구포가 37000원이다. 서울-부산 우등고속이 3만4천얼마던가...), 새마을호의 유일하게 남은 장점인 안락한 시트도 ITX로 바뀌면서 퇴색되었으니 새마을호는 이래저래 애매한 신세가 되어 버렸다. 그걸 반증이나 하듯 KTX와 SRT는 매진사례인데 내가 탄 객차는 정원의 70% 가량을 채우는 정도였다. 뭐 그래서 쾌적하게 오긴 했다만.

목적지가 해운대였기에 굳이 부산역까지 내려갈 필요 없이 구포역에서 내렸다. 구포역에서 3호선을 타고 수영역에서 2호선으로 갈아타면 약 1시간 가량 걸린다.
참고로 사상이나 서면, 양산(은 차라리 물금에서 내리는 게...) 등지를 가기 위해 2호선을 타려면 역 바로 앞의 3호선 역으로 가기보다, 철길을 가로지르는 육교를 건너 골목길을 따라 2호선 구명역으로 가는 게 거리상으로는 이득이다. 예전에 그렇게 가본 적 있었던 것 같은데 그게 언제더라...원동역 매화 구경하던 때였나...
다만 나는 이날 약간 다른 이유로 육교를 건너 골목길을 지났다.

구포시장에 들러 약간 이른 저녁 요기를 하기로. 부산의 소울푸드(?) 돼지국밥 한 그릇 때리고!

참고로 구포시장은 구포역에서 도보권이긴 하지만 구포역보다는 덕천역에 가깝다.
전광판은 있는데 열차 도착알림이 정작 뜨지 않아서 이게 뭔가 했는데, 왼쪽 작은 화면 한켠에 있었다. 이럴 거 같으면 저 커다란 LED 전광판은 뭣하러 만들어놓은겨!

아기다리고기다리던 유루캠 5권이 나와서 한권 사려고 센텀시티의 교보문고에 잠깐 들렀다. 잠 안올 때 좀 읽으려고 했는데 정작 호텔 가서는 폭풍수면을...
여기서 호텔까지는 버스를 이용했다. 가면서 그 유명한 올림픽환승센터(...)도 구경하고

이제는 거의 부산여행의 고인물 수준...이라기보다는 부산여행은 뭔가 공식화 되어 있어서 중복된 사진은 안 찍으려고 한다. 이날 머문 곳은 토요코인 해운대1점. 2점이 좀 더 새 숙소이긴 한데, 여기는 객실 수가 적어 2점보다 덜 북적이기도 하고, 엘리베이터 타기 귀찮으면 계단을 이용해도 되고...등등의 편리점이 있어 선택하게 되었다. 다른 여느 토요코인답지 않게 7층 건물이던가...로 층수가 높지 않아 전망은 전혀 기대할 수 없는데, 이날은 더구나 창 밖으로 옆건물 벽이 보이는 방을 배정받았다(...)
해운대점은 주말 및 성수기는 할증 요금을 받고 있다. 그래서 여름철에 오면 서면이나 부산역 등 다른 지점을 이용하는 편이지만, 이제는 뭔가 그냥 귀찮다(...) 그냥 슬리퍼 질질 끌고 바닷가 갈 수 있는 게 좋더란다. 그리고 요새 여러 가지 캠페인을 하고 있기에 회원 할인 등 이것저것 해서 싱글룸 기준 5만 5천원 가량에 머물 수 있었다. 예전 첫 부산여행 때 부산역2점(당시 중앙동점) 숙박비가 그 정도였으니 그렇게 손해 본다는 생각은 없었다.
다만 같은 날 중앙동점 할인 요금은 3만 7천원인가...였고, 성수기 할증이 어제까지인가 오늘까지인가였는데 이제 와서 좀 아깝기도 하기도 하다.

짐만 풀고 나와서 해운대 날씨 간 좀 보고 청사포로 향했다.

청사포로 향하는 유일한 대중교통, 해운대2번 마을버스다(배차간격 약 25분). 호텔 앞에서 청사포까지 바로 이어주긴 하지만 달맞이길 윗길과 장산역을 찍기 때문에 환상적인 굴곡을 자랑한다. 그래서 끝까지 가기보다 중간 굴곡 지점에서 내려서 걸어 가 보기로.

지도에서 "청사포입구 사거리" 표시된 곳은 달맞이길이 청사포로 위로 가로지르는 고가도로 형태를 하고 있다. 그 아래에서 보이는 청사포 경치가 또 일품이다. 처음에 왔을 때도 이 언덕 아래로 보이는 바다 경치에 감동했었지...

못 보던 새에 이곳은 세련된 카페나 이런 공방 등이 들어섰다. 이런 곳과 으레 해변가에 있곤 하는 조개구이집이 어우러져 묘한 분위기를 자아낸다.

다만 이 날의 청사포 기행은 여기까지였는데, 비가 갑자기 내리기 시작했기 때문. 그 옷 젖는다는 줄 모르는 가랑비 정도였지만 금방 그치겠지 하는 비가 좀체 그치지 않았다. 우산은 좀 과하다 싶어서 바람막이를 챙겨 왔었는데 호텔에 두고 온게 후회되었다.
다음날도 이 비는 청사포 한번 가볼까 할 때마다 나를 괴롭혔다.

비에 쫄딱 젖어 호텔로 돌아와 샤워를 하고 바로 곯아떨어졌다가 다음날 아침. 흩뿌리는 비가 오락가락한다. 다행히도 이곳은 열대야도 없고, 해도 잠깐 나다 구름에 가리다를 반복했기 때문에 꽤 시원하다.
7시쯤 아침을 먹고, 준비해서 8시 반쯤 청사포를 재도전하려고 나가는데, 또 비가 온다! 어쩔 수 없이 송정해수욕장으로 목적지를 급 수정.

동부산 권역에 올 때 항상 들르는 스타벅스 송정비치점이다. 비공식 해변카페전문 블로거로서 수많은 해변카페를 다녀봤지만 이곳만한 해변카페가 없다. 전망도 좋고, 적절히 커서 익명성도 보장되는데다 너무 붐비지도 않고, 혼자 와도 눈치보일 일 없고 등등...
이날도 어김없이 이곳에서 여유로운 휴일 아침을 보내고 간다.

송정해수욕장 전경. 산 능선 끄트머리에 무언가 튀어나와 있는 구조물이 보이는데, 이번에 가 볼 곳이 바로 저 '다릿돌 전망대'다.

예전에는 미포(해운대)~청사포~송정간 구 동해남부선 철로를 이용해서 도보 답사가 가능했지만, 지금은 레일바이크인지 산책로인지 공사를 하고 있어서 구 동해남부선 철로로 접근이 불가능하다. 현수막을 보면 분명 7월 말까지라고 했는데...아무래도 성수기에 맞춰 완공하는데 실패한 듯(...)
아무튼 드디어! 청사포의 다릿돌 전망대로 가 보려고 한다.
(다음에 계속)
최근 덧글